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3)
히트2 세계관 The Story:Epic Of Ervaden - 세계를 파괴시킨 잿빛의 날, 그로부터 10년 후 Story 1 에다 여신의 축복을 받은 땅, 에르바덴. 비옥한 대지 위에 자라난 생명들은 여신의 품에 안겨 행복하고도 낙원 같은 생활을 영위했다. 그러나 영원할 것만 같았던 창성의 날들 속에 불행의 싹이 자라나고 마침내 여신의 뜻을 거스른 말딘과 그와 행동을 같이하기 시작한 생명들에게 여신은 실망을 감출 수 없었다. Story 2 "아무리 긴 세월이 지나도 계속 비슷한 문제가 반복되는군. 이젠... 어찌하면 좋을지도 모르겠어." 완전무결한 세계를 꿈꿨던 여신은 반복된 실패에 낙담하며 차원의 틈을 열어 사라졌고, 그 틈으로부터 흘러 들어온 강력한 에너지가 세계의 곳곳을 파괴했다. 재앙의 시작이엇던 잿빛의 날은..
얼음과 불의 세계 - 고대의 이야기 (3) 발리리아 #1. 에소스에서의 태동 웨스테로스가 긴 밤(The Long Night)에서 깨어날 무렵, 에소스에서도 새로운 권력이 탄생한다. 에소스의 첫 번째 문명: 노예제에 기반한 도시 '올드 기스'에서 시작 - 도시의 건립자: '위대한' 그라즈단 - 특징: 밀집 군단(강철같이 단련된 몸에 긴 방패와 세 자루의 창으로 무장한 군단)을 창시함 - 발전: 주변 땅을 식민지로 삼아 나가며, 이웃 나라들을 압박해 예속하였음 → 제국으로 발전하여, 몇 세기 동안 세상을 지배함 - 제국의 종말: 발리리아인들이 길들인 드래곤을 무기로 삼으면서 대륙 전체를 지배하게 되며 종말함 #2. 발리리아의 발흥 구분 설명 수도 발리리아 - 발리리아 반도 중앙에 위치 발리리아인 빼어난 미모를 소유함 (다른 종족에서 찾아볼 수 없는 옅은 은발..
얼음과 불의 세계 - 고대의 이야기 (2) 퍼스트 멘의 도래와 영웅들의 시대 [퍼스트 멘(*1)의 도래와 영웅들의 시대] (*1) 새로운 인류, 퍼스트 멘(First Men), 퍼스트 맨, 최초인 등으로 불림 여명기와 영웅들의 시대 12000 BC - 8000 BC 여명기의 시작 최초인이 웨스테로스에 이주한 시기로 추정함 -- 최초인은 이주한 지 얼마되지 않아 숲의 아이들과 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에소스의 여러 민족들이 드트라키 바다에서 갈라져 나오다. 10000 BC 최초인과 숲의 이들이 평화조약을 맺고 고대신 신앙을 받아 들이다. 영웅들의 시대가 시작되다. 10000 BC - 6000 BC 긴 밤의 시대에 아더들이 먼 북쪽의 얼어붙은 땅에서 내려와 모든 살아있는 생명들을 살육하다가 어떤 영웅의 등장으로 물러나다. 건축왕 브랜든에 의해 장벽이 건설되고 밤의 경비대가 창설되다. ..
얼음과 불의 세계 - 고대의 이야기 (1) 여명기의 거인족과 숲의 아이 [여명기의 '거인족과 숲의 아이'] 여명기의 인류에게는 문자가 없었다. 당시의 세계는 지금보다 훨씬 더 원시적이었다. 땅에서 자연적으로만 나는 것들에 기대어 살던 소규모 부족이 판치는 야만의 땅. 그 세계를 살았던 안달족과 발라리아인, 기스카르인과 더불어 전설적인 종족인 아샤이인들이 써 내려간 이야기가 남아있다. 여명기에 대해 정확하게 말할 수 있는 사실은 많지 않지만, 웨스테로스에는 '영원한 겨울의 땅'으로부터 여름해의 해변에 이르기까지 단 두 부류의 인종만이 존재했다. 거인(Giants)과 숲의 아이들(Children of the Forest)이라고 알려진 생명체가 바로 그들이다. 여명기의 거인족에 대해서는 전해진 이야기가 거의 없지만, 나이츠 워치들의 말에 따르면 '와일들링 사이에 전해지길, 거인들..
얼음과 불의 세계 (0) 시타델의 얀델 시타델의 비천한 마에스터 얀델은 안달과 로인, 퍼스트 멘의 왕이시자 칠왕국의 영주, 왕국의 수호자, 가장 존귀하오며 자비로우신 우리의 군주, 로버트 조프리 토멘 폐하의 치세가 앞으로도 일천 배, 일만 배 번성하옵고 누구도 견줄 수 없는 지혜로 영원토록 찬란하기를 염원하나이다. 웨스테로스 전역에서 사람들이 모여 지식을 탐구하는 학문의 전당, 시타델에는 한 명의 야심찬 젊은 마에스터가 있었습니다. 그의 이름은 얀델. AC271년, 태어나자마자 버림받았으나 필경사 견습생에게 발견되어 시타델에 맡겨졌습니다. 그곳에서 심부름꾼으로 일하며 마에스터 수업을 받기 어언 20년, 그는 사슬 목걸이를 완성하고 한 명의 여엿한 마에스터가 됩니다. 그리고 커다란 업적을 이루기 위해 매진하게 되죠. 바로 웨스테로스와 '알려진 ..
[마블] 이터널스에 대해서 1. 이터널스 백만 년 전 우주에서 온 셀레스티얼이 지구의 원시인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으로 탄생한 세개의 종족 -호모 사피엔스, 이터널스(호모 이모털리스), 데비안츠(호모 디센두스)- 중 하나이다. 이터널스는 아름답고 강력했지만 그 수가 고작 100명 정도로 아주 적었고, 데비안츠는 흉측한 외모를 가지고 있었지만 수백만에 이를 정도로 수가 많았다. (*셀레스티얼: 모든 셀레스티얼, 호드, 주시자들이 숭상하는 존재가 '펄크럼'인데, 이들 또한 펄크럼을 섬기기 위해 일한다. 이들은 우주에 생명을 흩뿌리고 다니며 19개의 우주 사이클이 지나가면 행성을 수확한다. 그렇게 합쳐진 에너지는 펄크럼에게 전달된다.) (*호드: 안티 셀레스티얼이라고 볼 수 있다.) ​ 1.1 이터널스의 특징 무한한 수명과 불멸의 육체,..
[장르] 스팀펑크 알아보기 스팀펑크(steampunk)에 대해 알아보자. 스팀펑크는 과학기술이 내연기관이나 전기로 발전하지 않고, 증기기관 기술만이 발전한 가상의 세계이다. 이 세계관을 소설에서 먼저 접했고, 게임에서는 Dishonored를 통해 눈을 틔웠다. 하지만 그 이전에 날 설레게 한 세계는 바로 '하울의 움직이는 성'의 세계이다. 스튜디오 지브리의 작품들을 상당히 좋아하는데, 그 중 손에 꼽히게 좋아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 증기가 난무하는 거리, 앤티크한 분위기, 하늘을 메운 비공정. 이것들은 스팀펑크 장르에서 거의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이런 장르들은 산업시대를 배경으로, 1800년대 '벨 에포크' 시대를 주요 시점으로 삼는다. (* 벨 에포크란 주로 19세기 말부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1914년)까지 프랑스가 ..
[신화] 이집트 신화 알아보기 1. 이집트 신화의 정의 이집트 신화란, 기독교와 이슬람이 확산되기 이전에 고대 이집트 사람들이 생각해온 신들의 체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는 헬리오폴리스(이집트의 고대 신전 도시)에서 믿었던 엔네아드(고대 이집트 종교의 아홉 신의 집단)를 바탕으로 전해진다. ​ 1.1 이집트의 역사 1.2 이집트의 신분 ​ 1.3 파라오의 직책, 호칭과 이름 (1) 정통성 파라오의 이름 앞에는 호루스가 붙는다. 파라오가 자신이 호루스의 분신이라는 사실을 강조해야 정통성이 바로 잡히기 때문이다. ​ (2) 지리적 의미의 권력자 파라오는 즉위할 때 '프라에노멘'을 얻는다. 이는 지리적 의미의 권력자를 뜻하는데, 나일강 하류에 많은 벌과 상류에 많은 사초를 합쳐 상-하 이집트 모두의 권력자라는 의미이다. ​ (3) 종교적 ..
[장르] 어반 판타지 알아보기 1. 어반 판타지의 정의 어반 판타지(Urban Fantasy)는 판타지의 하위 장르 중 하나로, 현대의 도시 내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는 판타지 장르이다. 도시전설적 판타지와 도시 배경의 판타지라는 두 가지의 정의가 섞여서 사용되고 있다. 어반 판타지를 현대 판타지의 하위 장르로 구분하기도 한다. ​ 2. 어반 판타지의 골자 합리 ↔ 미지 이성 ↔ 감성 어반 판타지는 현대 도시의 이면에서 초자연적인 존재들이 그들의 사회를 일구고 암약하는 이원성을 골자로 한다. 두 세계가 양자 간의 경계를 넘지 않고 질서를 지키며 병존하는 것이 창작물의 기본 배경이 된다. 그렇기에 현실 대 환상, 근대 대 전통, 과학 대 마법, 지성 대 야성과 같이 반대되는 테마로 이어진다. 어반 판타지는 주인공이 초자연적인..
[장르] 포스트 아포칼립스에 대해서 1.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정의 - 포스트 아포칼립스(post-apocalypse)는 세계 종말 이후의 상황을 그리는 SF의 하위 장르 - 정의: 아포칼립스란 '계시' 혹은 '알려지지 않은 것의 폭로' 등을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기원한 단어 - 현재의 의미: 성서의 마지막 장인 요한묵시록의 그리스어 제목으로 쓰여서인지, 현재는 아마게돈이나 세계의 종말을 의미하는 단어로 사용됨 - 주제: 단순히 세상이 멸망했다는 설정만이 아닌, 멸망 이후의 세계가 주제나 중심이 된다. ​ 2 . 포스트 아포칼립스의 특징 2.1 휴머니즘과 인간성에 대한 고찰 - 영화 반도의 연상호 감독은 '인간성을 노골적으로 보여줄수 있는 장르다 보니 역설적으로 휴머니즘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는 인터뷰를 남김 - 사람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